오류해결

· 오류해결
데이터를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존에는 Vuex를 사용했었는데 ?? 대체 언제 Pinia가 공식으로 바뀌었던가.. 그래서 Pinia로 전면 수정을 하는데 자꾸 persistedstate가 적용이 안 되는 문제가 발생했다.(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은 이 에러를 만난 지 벌써 3시간째) gpt4, also gpt2, 스택오버플로우 전부 확인했지만 실패  main.jsimport { createApp } from "vue";import { createPinia } from "pinia";import piniaPluginPersistedstate from "pinia-plugin-persistedstate";import App from "./App.vue";import router from "./rout..
· 오류해결
리프레시 토큰 재발급 API를 만들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API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accessToken, refreshToken 2개의 쿠키를 필수로 전달. jwt 필터 건너뜀. 스프링 시큐리티 건너뜀. 즉 2개의 쿠키를 전달해 준다면 일치하는 리프레시를 찾아서 살아있다면 재발급을 진행해 주는 형식이다. 컨트롤러 @PostMapping("refresh-token") public ResponseEntity
· 오류해결
오랜만에 QueryDSL을 통해 쿼리를 작성하려고 하는데 RefreshToken Entity에서 큐클래스가 임포트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했다. 다른 Entity에서는 사진처럼 잘 import가 되고 있는데 RefreshToken만 import하면 빨간줄 떴다가 바로 삭제가 돼서 QClass가 없나 싶어서 확인해봤다. 분명 QClass는 다 만들어져 있는데?.. 여기서 아차 싶은 부분이 생겼다 대부분 보통 QClass는 build/generated 폴더에 만드는 걸로 알고 있는데 내 코드는 src/main에 생성하도록 지정이 되어 있던 것. 근데 여태까지 문제 없이 사용했는데? 이 방법이 진짜 문제가 없는 건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일단 김영한님도 그렇고 호돌맨님의 인프런 댓글도 확인해본 결과 전부 buil..
· 오류해결
젠킨스를 이용해서 특정 라벨을 붙일 때만 배포시키도록 설정했는데 Did not find any jobs with GenericTrigger configured!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문제는 token을 주소에 넣어주지 않은 점이 문제였다. 젠킨스에서 api 토큰을 넣어주기로 했다면 Gibhub webhook URL을 generic-webhook-trigger/invoke?token=api 이렇게 뒤에 token 값을 붙여줘야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휴
· 오류해결
github webhook을 설정하는데 계속 502에러가 발생했다. response 내용도 없었고, 스택오버플로우에도 해당 내용이 없어서 3일 넘게 끙끙 앓았던 문제. ec2의 보안 설정에 있었다. jenkins를 9090포트를 사용하는데 해당 포트에는 나만 접근을 해야한다고 생각해서 내 IP만 허용하게 뒀는데 이게 문제였다. 어차피 9090포트를 들어와도 아이디, 비밀번호로 접근해야하기에 보안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판단. 9090포트를 전부 열어줌으로써 webhook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 오류해결
매일 00시에 선착순 쿠폰을 발행하는데 데이터를 로드하는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해당 쿠폰은 4월 2일에 발행된 쿠폰이며, 4월 2일에는 해당 데이터가 조회가 되는 게 정상인데 로컬에서는 되지만 서버에 올리면 데이터를 못 찾아오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건 무조건 시간차로 발생한 문제라고 의심. 그래서 mysql의 시간을 먼저 확인했다. +--------------------+---------------------+--------------------+ | @@global.time_zone | @@session.time_zone | @@system_time_zone | +--------------------+---------------------+--------------------+ | SYSTEM |..
· 오류해결
젠킨스를 연동해서 나만의 파이프라인을 집어넣었다. 모든 과정은 순탄하게 진행됐으나 docker를 살펴보니 스프링부트 컨테이너가 올라가지 않았다. 분명 Run Docker Image 단계에서 올라가야 정상인데 왜지? 도커 이미지도 정상적으로 도커허브에서 받아온 상태인데??? 분명 컨테이너를 올리다가 문제가 발생했다고 생각이 든다. 그러면 yml이 문제인가? 싶어서 내가 수동으로 컨테이너를 올려보기로 했다. 근데 이미 springboot 컨테이너가 존재한다고 뜨네?? 그래서 docker ps로 현재 실행중인 컨테이너를 봤는데 없다. 그러면 중단 됐다는 뜻인데 docker ps -a 명령어로 중단된 컨테이너까지 확인했더니 찾았다 요뇨석 중단된 컨테이너를 지우고, 도커허브에서 받은 이미지로 다시 컨테이너를 올렸..
· 오류해결
현재 유저가 가진 역할을 담아놓은 테이블이다. 로그인을 진행하면 JWT필터에서 유저 쿼리가 2번 찍히는 문제가 발생해서 해결해보려고 했다. 분명 데이터에는 2번 유저에게 유저Role이 하나만 있는 상태인데 왜 2번이 찍힐까? 이렇게 찍어봤는데 2번이 찍힌다. 그 말은 jwt 필터를 2번 타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것인데 왜지? 그냥 내가 로직을 잘못 작성해서 그랬었다. chat 페이지로 가면 유저의 토큰 조회 메서드, 쿠폰 조회 메서드가 실행되는데 이게 따로따로 실행돼서 2번이 발생하는 것. 그냥 하나의 api로 묶어서 관리하면 더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도메인별로 관리하면 유지보수면에서 물론 좋겠지만, 새로고침할 때마다 매번 실행되는 건데 하나로 묶으면 더 효율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1...
indeep
'오류해결' 카테고리의 글 목록